MONAMI

필기구 디자인의 인체공학적 요소 : 모나미

나의 친구 2009. 9. 18. 14:28

필기구 디자인에 있어서 아름다움은 외형적인 것 뿐 아니라 사용의 편리함에서 오는 아름다움도 생각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인간적이고 인간 감성에 접근된 인체 공학적인 제품의 개발을 요구하게 된다.
18세기 칸트는 '손은 보이는 뇌의 일부'라고 말하여 두뇌의 발달과 손의 관계를 언급하였고, 20세기 브르노우스키는 '손은 정신의 칼날'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손은 '제 2의 두뇌'라고 할 만큼 높은 식별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손은 엄지와 다른 손가락이 서로 마주 볼 수 있게 되는데 인류가 만물의 영장이 되게 된 동기도 여기에 있다 하겠다.


 

손가락의 역할
손으로 필기구를 쥐었을 때 손가락의 역할을 보면,

 

엄지 - 다른 네 손가락과 마주하고 있으며 그 중 어는 손가락과도 맞닿을 수 있어 물건을 쥘 수 있게 해준다. 통상적으로 손이 하는 모든 일의 45%를 수행하기 때문에 엄지를 사용하지 않고는 절대 필기를 할 수 없다.

인지 - 엄지를 도와 가장 상향에서 필기 하는 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중지 - 엄지와 같이 가장 확실하게 필기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엄지로 인하여 첫째 관절에 심한 압박이 가해진다.

약지 - 필기 시 약지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중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분산하는 보조 역할로서 사용되어 진다.

소지 - 필기 시 필기구를 쥔 전체 손가락들을 보조하여 균형을 이루게 한다.

필기 할 때는 일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일정량의 땀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하여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고자 고무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압박감과 미끄럼 현상을 완화하는 디자인이 등장했으며 실제로 좋은 파지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손에 더욱 편안하게 쥐어지며 보다 인체공학적으로 제작되어진 제품들은 대부분 원형에서의 삼각면형성과 grip 하단분의 역돌출을 볼 수 있는데 손가락 세 개가 필기구에 쥐어져 사용된다는 것에 착안하여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자인 되어진다.
그리고 뚜껑이 있는 구조의 일반적 필기구로 필기 할 때 cap을 후축에 꽂아 사용하는데 cap에 안착 되어진 clip의 하단부가 손등에 닿아진다면 필기의 쾌적감에 방해요소로 작용된다. 이러한 clip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적절한 크기가 요구 되어진다.

 

필기구 뚜껑의 공기 흐름
이렇듯 필기구는 손에 미치는 요소를 디자인 방법에 대입하여 제품화 되어지지만 ventilated화(공기 흐름)를 무시 할 수 없다.
뚜껑부분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디자인된 연유를 알아보면, 1980년대 후반 영국의 한 가정에서 유아가 필기구의 뚜껑을 가지고 빨다 입 속에 집어 넣어 삼켰으며, 이로 인해 기도가 막혀 질식사한 경우가 있었는데 곧 어린이의 부모는 필기구 업체에 제소하게 되었고 필기구 회사는 패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CE 마크 및 영국의 BS7272는 14세 이하의 어린이가 사용하는 문구제품을 안정성에 적합하도록 요구 하고 있다.

규정이 처음 발표되었을 당시는 장식펜과 고가의 만년필, 전문가용 펜에는 이 같은 규격에 제한을 받디 않았으나 최근에는 만년필에도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디자인된 제품들이 출하되고 있어 점차 ventilated화에 따른 디자인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공기 흐름 캡의 요건
공기 흐름 캡의 요건으로는 캡을 16mm 링게이지로 검사시 링 속에 캡을 집어 넣었을 때 링이 5mm이상 통과되지 못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또 16mm링게이지가 통과되는 캡에 한하여 clip이 부착되어 있거나 돌출이 있는 캡은 밀폐가 되었을 시 최소 6.8의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단면적을 확보해야 한다.
워터맨의 쟝 베이용 사장은 만년필에 빗대어 '인간에게 감성이 남아 있는 한 컴퓨터 시대에도 필기구는 영원하다.'라고 대변하듯 각종 필기구는 현재 세계의 많은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워터맨사는 최근 몇 년간 매출이 신장되었다. 사람들은 이제 쓰기 산업이 사양길에 접어 들었다고 하는데 이러한 판매 신장율은 대중적 시각을 뒤엎고 있는 것이다.
실지로 전화, FAX, E-Mai, 컴퓨터가 우리의 필기 문화를 약화시켰다는 개탄의 소리와 맞물려 한쪽에선 오히려 인간의 손길과 정성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져 갈 것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은데, 이것은 하이테크와 하이터치의 동일선상의 발전을 의미하고 과학문명이 발달할수록 감상적 제품들이 더 각광을 받을 것이라는 점을 의미한다.

 

필기구 디자인의 조건
감성적인 디자인과 인체공학적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필기구는 손의 터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제품으로 필기감과 파지감, 필기 바란스를 유지하기 위한 사항에 다음의 사항이 충족되어야 한다,

1. grip의 형상이 손과 밀접하게 작용하기 때무에 미끄럼 방지 소재의 다양화 필요
2. 중지에의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해 중지가 위치하는 부위를 인체공학적으로 처리
3. clip이 필기하는 손등에 닿아 필감의 저해 요인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4. 필기 밸런스를 유지하기 우해 소재에 따른 무게분산
5. cap의 ventilated화

여기서 cap의 ventilated화는 세계시장의 접근에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며 궁극적으로 인간 안전에 관련된 사항이다.

필기구 디자인에 있어서 아름다움은 외형적인 것 뿐 아니라 사용의 편리함에서 오는 아름다움도 생각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인간적이고 인간 감성에 접근되 인체공학적인 제품의 개발을 요구하게 된다.